![]() |
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임이자 자유한국당 의원이 12일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환경부 소속ㆍ산하기관 16곳이 보유한 드론은 총 185대였다.
기관별로는 국립공원관리공단이 72대로 가장 많고 국립생태원 19대, 한국수자원공사ㆍ국립환경과학원 각각 16대, 한국환경공단 10대 등 순이다.
하지만 드론 활용을 위한 자격증 보유자는 한국환경공단 소속 직원 3명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. 나머지 15개 소속ㆍ산하기관에는 드론 자격증 보유자가 1명도 없었다.
드론 조종이 미숙할 경우 나무나 건물과 부딪혀 추락할 수 있고, 외국에서는 드론 프로펠러로 인한 실명이나 찰과상 등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도 크다. 하지만, 환경부 소속ㆍ산하기관이 보유한 드론의 보험가입률은 64%(120대)에 불과하다.
임 의원은 “드론을 안전하게 활용하려면 전문성을 갖춘 담당 인력을 확보해야 한다”며 “아울러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보험가입을 늘려야 한다”고 말했다.
[환경미디어= 김명화 기자]
[ⓒ 환경미디어. 무단전재-재배포 금지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