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 3월 22일부터 27일 기간에 발생한 고농도 미세먼지(PM2.5) 발생 원인을 분석한 결과, 22일에 59%로 출발한 국외 영향이 23일에 69%까지 높아진 이후 점차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.
![]() |
▲ 국내외 기여 황산염 농도 |
수도권 집중측정소의 관측 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, 국외 영향은 고농도 사례 초반(3월 22일~24일)에 58~69%, 후반기(3월 25일~27일)에는 32~51% 수준을 보였다.
고농도 사례기간 중 미세먼지 일평균 농도가 최고값(경기 102㎍/㎥, 서울 99㎍/㎥)을 보인 3월 25일의 국내외 영향은 유사(국외 51%, 국내 49%)했으나, 오전 시간에는 국외 영향이 우세(51~70%)했고 오후 시간에는 국내가 우세(59~82%)했다.
< 수도권 집중측정소 관측자료 기반으로 추정된 미세먼지의 국내외 영향 >
< 관측자료(수도권 집중측정소) 기반으로 추정된 국내외 영향 >
국립환경과학원은 3월 22일과 24일에 국외 미세먼지가 유입된 이후, 3월 25일부터 26일 오전 동안에 국내 배출 효과가 더해지면서 ‘미세먼지 2차 생성*‘이 활발히 일어나 고농도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했다.
3월 25일부터 26일 오전 동안에는 낮은 환기효과로 인한 대기정체와 높은 습도가 유지돼 ’미세먼지 2차 생성‘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이 형성됐고, 이로 인해 작은 입자가 큰 입자로 성장함에 따라 미세먼지의 질량 농도가 급격히 증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.
< 미세먼지(PM2.5) 입자크기별 입자 수 및 질량 농도 >
국립환경과학원은 1월 고농도 사례(1월 15~18일)는 대기정체로 인한 국내 발생 미세먼지가 주요원인이었으나, 이번 사례(3월 22~27일)는 국내와 국외 미세먼지가 복합적 영향으로 발생된 것이라고 밝혔다.
이번 사례 초반(3월 22일~24일)에 국외 미세먼지가 유입된 근거는 ① 이동성 고기압에 의해 우리나라로 국외 미세먼지가 유입될 수 있는 기상조건 형성 ② 백령도와 서울에서 미세먼지 농도의 급격한 증가, ③ 위성을 통한 국외 에어로졸 유입의 관측 ④ 우리나라와 일본의 미세먼지 농도의 동시 증가 ⑤ 국내 배출원이 비교적 적은 황산염 증가 등 5가지다.
이번 사례 후반(3월 25일~27일) 동안에 국외 기여율이 낮아진 이유는 ① 남해상에 위치한 고기압과 한반도 북쪽을 지나는 저기압의 영향을 동시에 받아 서해상에 강한 남풍기류가 형성돼 국외 미세먼지 유입이 차단 ② 우리나라 내륙에 낮은 환기효과로 인한 대기정체 발생 ③ 3월 25일 오전을 기점으로 우리나라와 일본의 미세먼지 농도 증가가 정체되는 점 등 3가지다.
장임석 국립환경과학원 대기질통합예보센터장은 “앞으로도 정확한 미세먼지 예보와 더불어 고농도 발생 시 심층적인 원인 분석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”이라고 말했다.
[환경미디어= 김한솔 기자]
[ⓒ 환경미디어. 무단전재-재배포 금지]